맨위로가기

알바르 굴스트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르 굴스트란드는 스웨덴의 안과학자이자 시과학자로, 눈의 광학 이미지와 빛의 굴절에 대한 연구로 19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난시 연구, 검안경 개선, 백내장 수술 후 사용할 교정 렌즈 개발에도 기여했다. 웁살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각막의 구조와 기능 연구를 수행했고,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를 개발했다. 또한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노벨상 수상을 반대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의사 - 안데르스 테그넬
    안데르스 테그넬은 스웨덴의 의사이자 역학자이며, 스웨덴 공중 보건청 국가 역학자로 재직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스웨덴의 방역 정책을 주도했다.
  • 스웨덴의 의사 - 랑나르 그라니트
    랑나르 그라니트는 핀란드에서 태어나 스웨덴으로 귀화한 신경생리학 교수로, 196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1991년 사망했다.
  • 스웨덴의 노벨상 수상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스웨덴의 노벨상 수상자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알바르 굴스트란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바르 굴스트란드
알바르 굴스트란드
이름알바르 굴스트란드
출생1862년 6월 5일
출생지스웨덴 란스크루나
사망1930년 7월 28일 (향년 68세)
사망지스웨덴 스톡홀름
국적스웨덴
연구 분야
학문 분야안과학
직장웁살라 대학교
알려진 업적눈의 굴절 기능에 관한 연구, 난시 연구, 눈의 수학적 모델
배우자시그네 브레이홀츠
수상비에르켄스카 상 (1906년)
수상노벨 생리학·의학상 (1911년)
소속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2. 생애

Alvar Gullstrand|알바르 굴스트란드sv는 1862년 6월 5일 스웨덴란스크로나에서 태어났다. 1885년 시그네 브레이홀츠(Signe Breitholtz, 1862–1946)와 결혼했다.

그는 웁살라 대학교에서 1894년부터 1927년까지 안과학 및 시과학 교수를 역임했다. 물리 수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눈의 광학 이미지와 빛의 굴절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러한 안과 의학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19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굴스트란드는 또한 난시 연구, 검안경 개선, 백내장 제거 수술 후 사용할 교정 렌즈 개발로도 잘 알려져 있다.

주요 저술로는 《Die optische Abbildung in heterogenen Medien und Dioptrik der Kristallines des Menschen》(1908년), 《Einfuhrung in die Methoden der Dioptik des Auges des Menschen》(1911년), 《Das allgemeine optische Abbildungssystem》(1915년) 등이 있다. 그의 저술은 수학적 내용이 많아 동시대 학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했다는 평가가 있다.[5] 호라티오 버트 윌리엄스는 1926년에 "굴스트란드의 논문을 읽을 수 있는 안과의와 생리학자는 많지 않다. 이는 조지아 윌라드 깁스 시대의 화학자들이 그의 연구를 읽을 수 없었던 이유와 같다"고 언급하기도 했다.[5]

1905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아카데미의 물리학상 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1921년 위원회 활동 당시,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그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을 막으려 했다.[2] 아인슈타인은 당시 다른 과학자들보다 훨씬 많은 14번의 추천을 받은 상태였다. 굴스트란드는 50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에서 "아인슈타인의 연구는 인류에게 충분히 유용하지 않다...측정 가능한 증거를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는 일식 동안 관측된 빛의 굴절이나 수성의 궤도 문제 등 당시 알려진 현상에 대한 설명과 배치되는 면이 있었다.[4] 굴스트란드의 영향력으로 인해 위원회는 19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를 선정하지 못했다. 결국 아인슈타인은 굴스트란드가 1922년 칼 빌헬름 오신으로 교체된 후에야 광전 효과 연구에 대한 공로로 1921년 노벨상을 소급하여 수상하게 되었다. (같은 해 닐스 보어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굴스트란드는 1930년 스톡홀름에서 사망했으며, 스톡홀름의 노라 베그라반스플라첸에 안장되었다.

3. 주요 연구 업적

스웨덴의 안과학자 알바르 굴스트란드는 웁살라 대학교에서 안과 및 시과학 교수로 재직하며(1894년~1927년) 눈의 광학적 특성과 기능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특히 물리 수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눈의 광학 이미지 형성과 빛의 굴절 현상을 깊이 있게 분석했다.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 눈의 굴절광학 연구: 눈의 수정체에서 빛이 어떻게 굴절되고 초점을 맞추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눈의 조절 작용에 수정체의 내부 구조 변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으며, 이 공로로 19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상세한 내용은 #눈의 굴절광학 연구 섹션 참조.
  • 난시 연구: 각막의 구조와 기능 연구를 통해 난시의 원리와 교정에 기여했다. 상세한 내용은 #난시 연구 및 검안경 개선 섹션 참조.
  • 검안경 개선: 안과 진단에 사용되는 검안경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상세한 내용은 #난시 연구 및 검안경 개선 섹션 참조.
  • 백내장 수술 후 교정 렌즈 개발: 백내장 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교정 렌즈를 개발하고 개선했다. 상세한 내용은 #백내장 수술 후 교정 렌즈 개발 섹션 참조.
  •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 제작: 안과 진단에 필수적인 장비인 슬릿 램프(세극등 현미경)를 개발했다. 상세한 내용은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 개발 섹션 참조.


굴스트란드는 다수의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저술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
1908년Die optische Abbildung in heterogenen Medien und Dioptrik der Kristallines des Menschendeu
1911년Einfuhrung in die Methoden der Dioptik des Auges des Menschendeu
1915년Das allgemeine optische Abbildungssystemdeu


3. 1. 눈의 굴절광학 연구

알바르 굴스트란드는 의 조절 기능을 연구한 스웨덴의 안과학자이다. 웁살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1894-1927) 각막의 구조와 기능, 난시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물리 수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눈의 광학 이미지와 빛의 굴절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의 핵심 연구는 ‘눈의 굴절광학에 관한 연구’로, 이는 눈의 수정체에서 일어나는 굴절과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굴스트란트는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만 폰 헬름홀츠의 이론을 확장하여, 멀리 있거나 가까이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눈의 조절 작용에 수정체의 내부 구조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 약 2/3 정도가 수정체 표면 굴절률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규명했다. 이 연구 업적으로 19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굴스트란드는 또한 난시 연구, 검안경 개선, 백내장 제거 수술 후 사용하는 교정 렌즈 개발, 그리고 안과에서 중요한 검사 기구인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 제작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저술은 수학적 내용이 많아 동시대 학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했는데, 호라티오 버트 윌리엄스는 1926년에 "굴스트란드의 논문을 읽을 수 있는 안과의와 생리학자는 많지 않다. 이는 조지아 윌라드 깁스 시대의 화학자들이 그의 연구를 읽을 수 없었던 이유와 같다"고 언급하기도 했다.[5]

3. 2. 난시 연구 및 검안경 개선

알바르 굴스트란드는 웁살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각막의 구조와 기능 연구를 통해 난시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검안경을 개선하고, 백내장 수술 후 사용하는 교정 렌즈를 개발했으며, 안과 진단에 중요한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를 제작했다.

3. 3.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 개발

알바르 굴스트란드는 안과학 분야의 연구뿐만 아니라, 안과 진단에 사용되는 중요 기구 중 하나인 '굴스트란드 슬릿 램프'를 직접 제작하였다.

슬릿 램프는 눈의 앞부분, 특히 각막 등의 구조를 확대하여 정밀하게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문 진단 장비이다. 굴스트란드의 이러한 개발은 안과 진단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3. 4. 백내장 수술 후 교정 렌즈 개발

굴스트란드는 백내장 제거 수술 후 사용할 교정 렌즈를 개발하고 개선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4. 노벨상 위원회 활동과 아인슈타인과의 관계

알바르 굴스트란드는 1905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아카데미의 노벨 물리학상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21년, 그는 위원회 활동 중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을 막았다.[2] 당시 아인슈타인은 다른 과학자들보다 훨씬 많은 14번의 추천을 받았으나, 굴스트란드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잘못되었다고 믿었다. 그는 50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서 "아인슈타인의 연구는 인류에게 충분히 유용하지 않다...측정 가능한 증거를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는 일식 관측을 통해 확인된 빛의 굴절이나 수성 궤도의 세차 운동과 같은 증거들이 이미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나온 주장이었다.[4] 이러한 주장은 아인슈타인이 처음 후보로 지명된 1910년에는 설득력이 있었을지 모르나, 관련 증거들이 널리 받아들여진 1918년 이후에는 타당성을 잃었다. 그러나 굴스트란드의 높은 명성 때문에 위원회는 아인슈타인에게 상을 수여하지 못했고, 결국 그 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없었다. 아인슈타인은 굴스트란드가 1922년 칼 빌헬름 오신으로 교체된 후에야, 닐스 보어와 함께 광전 효과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21년 노벨 물리학상을 소급하여 수상했다.

5. 저술

연도저술 제목발표 매체 / 비고
1904Zur Kenntnis der Kreispunkte|원의 점에 대한 지식sweActa Mathematica 29:59–100
1905Über Astigmatismus, Koma und Aberration|난시, 코마, 수차에 관하여deuAnnalen der Physik, (4), 18: 941-973
1906Die reelle optische Abbildung|실제 광학적 이미지sweKungl.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41
1907Tatsachen und Fiktionen in der Lehre von der optischen Abbildung|광학적 이미지 이론의 사실과 허구deuArchiv für Optik, vol.1 p. 2
1908Die optische Abbildung in heterogenen Medien und die Dioptrik der Kristallinse des Menschen|이종 매체에서의 광학적 이미지와 인간의 수정체의 디옵터sweKungl.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43
1911Einführung in die Methoden der Dioptrik des Auges des Menschen|인간 눈의 디옵터 방법론 입문deu
1911스톡홀름 노벨 연회 연설, 1911년 12월 10일노벨 생리 의학상 수상 연설
1915Das allgemeine optische Abbildungssystem|일반 광학 이미징 시스템deu
1919Die Darstellung asphärischer Flächen für optische Instrumente|광학 기기를 위한 비구면 표면의 준비sweKgl.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vol. 60: 155, 요약 Zeitschrift für Instrumentenkunde, vol. 41 (1921), pp. 123–25
1922Allgemeine Lösung des statischen Einkörperproblems in der Einsteinschen Gravitationstheorie|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에서 정적 단일체 문제의 일반 해sweArkiv för Matematik, Astronomi och Fysik 16(8):1–15


참조

[1] 논문 Skand. Arch. f. Physiol. and Arch. f. Ophth.
[2] 저널 Gullstrand, Einstein, and the Nobel Prize
[3] 웹사이트 A brief biography of Albert Einstein https://www.research[...] 2023-05-00
[4] 서적 Einstein: His Life and Universe Simon & Schuster
[5] 논문 Mathematics and the Biological Sciences https://projecteuc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